택견이란

택견

정의 및 특징


택견은 품밝기라는 독특한 보법에 의하여 능청거리기도 하고 때로는 우쭐거리기도 하며, 발로 차기도 하고, 다리를 걸어 넘어뜨리기도 하는,

서두르지 않고 여유가 있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무예다.

특히, 택견의 몸놀림은 질박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워 손발과 근육의 움직임이 일치하여 자연스럽게 공격하고 방어 할수 있으며, 다른 무술에서 

볼 수 없는 품밟기, 활갯짓, 발질은 상대로 하여금 중심을 흐트러놓아 공격의 기세를 둔화시킬 수 있고 동작의 기본을 굼실댐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택견의 위계쵸시로서는 타 무술에서 사용되는 '급'이나 '단'대신 '째'나 '동'을 사용한다.

역사

우리민족은 오천년의 유규한 역사를 가진 고조선의 단일민족으로서 용기와 굳셈을 국풍으로 삼을 정도로 무예를 숭상했던 민족이다.

이런 민족의 특성상 택견의 연원은 고조선 때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잇으며, 2천여년전 삼국중 가장 무예가 발달되었던 고구려 시대에

와서 오늘날 택견과 같은 무예로 발전된 고유의 무예다.


이는 고구려 시대 4-5세기에 축조된 만주 집안현의 씨름 무덤과 춤무덤 등과 같은 고분벽화에서 활기찬 택견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택견의 역사적인 문헌으로는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동국여짓ㅇ람, 재불보, 조선상고사, 해동죽지, 조선상식, 조선무사영웅전, 등이 있다.

특히, 고려사를 보면 고려 시대에는 택견의 실력이 무인들의 승진 수단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는 택견이

중국에 들어가 권법이 되었고, 일본에 건나가 유도의 기술이 되었다고 기록한 것을 보면 택견의 우수성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양무술의 기본이 되었던 택견이 조선 시대에는 병사를 뽑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으나, 무풍을 천시한 이래 점차적으로 무예의 

성겅이 쇠퇴하게 되었으며, 단오나 백중 등 명절에 모여 행하는 세시풍속놀이로 전승되어 1920년대까지 성행 되었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택견이 견제됨으로써 그 원형이 흐려지는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그 후 택견의 실현자이며 고증자인 고(故)송덕기와 더불어, 택견 인간문화재 고(故) 신한승에 의해 고유한 전통적인 기법이 복원

정립되었다. 택견은 1982년 6월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어 현재는 두 인간문화재의 맥을 이어 제2대 예능보유자 정경화와

비롯한 택견인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으며, 택견의 원형보존과 전승보급을 위해 택견의 전승지인 충주에 택견전수관(현 택견원)이 

1997년 5월 31일 건립되어 국민들의 무예수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택견은 유네스코로부터 인류의 문화다양성과 창의성을 증명 받아 2011년 11월 28일 무술분야에서는 전 세계에서 최로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어, 이제는 세계인이 함께 보존하고 전승해야할 소중한 문화 유산이 되었다.

수련체계

택견은 품밟기, 활갯짓, 발질의 모양새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체적으로 혼자서 익히기(기본연습), 마주메기기(상대연습),견주기(맞서기)

등 3단계 수련과정이 있다.


* 혼자익히기는 품밟기, 활갯짓, 발질의 낱기술을 혼자서 익히는 수련과정이며,

* 마주메기기는 택견의 기본적인 기술을 둘이 마주서서 반 약속하에 메기고 받고하는 실제 수련과이고,

* 맞서니는 택견의 모든 기술을 응용하여 상대의 다리를 걸어 매치는 걸이기술과 차기기술로 상대화 실제 겨뤄봄으로써 호연지기를 

   키워가는 수련과정을 말한다.


현재는 중용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택견은 상대를 다치지 않게 승부를 낼 수 있는 활수 위주의 서기택견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급소를 쳐서 상대를 제압하는 살수 위주의 결런택건은 현재 12가지가 전승되고 있다.